30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역 주력산업인 조선업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전·후로 일부 지역경제 지표가 개선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으나 선박수주 저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 등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 4월23일 정부에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을 신청했다. 또 총 14개 사업, 884억원 규모의 지원대책 사업을 건의했다. 이번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 기한은 올해 5월29일부터 오는 2023년 5월28일까지 2년이다.
시는 이번 연장지정으로 산업위기지역 고용 유지, 기업지원을 통한 산업기반 강화, 지역 문화·체육시설 조성, 대왕암공원 정비 등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대·중소기업 상생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지역 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관련해 지역 조선산업의 취약점인 현장근로자 수급상황 개선을 위해 위기지역 내 월 208시간 근로제 탄력적용, 퇴직자의 고용장려금 지급 등의 정책을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요청했다. 이를 위해 향후 고용노동부 등 중앙부처에 정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에 따른 지역소요 사업에 대해서는 산업부, 기재부 등 관련부처 방문을 통해 정부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과 함께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동구의회는 “조선업 수주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고 있지만 조선업 특성상 수주 물량이 실적에 반영돼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1년 이상 필요하다. 또 현재 철광석 등 원자재값급상승, 중국 조선업체와 경쟁 등 변수가 많아 조선업 호황이 다시 찾아왔다고 결론 내기 어렵다”며 “이런 상황을 종합하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과 같은 정부의 지원이 계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동구가 지역구인 권명호(국민의힘) 국회의원도 “그동안 동구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을 위해 산업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했는데, 좋은 결실을 맺었다”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은 지역경제 위기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망이다, 울산 동구 경제가 반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이상헌)은 30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울산시의 노력으로 동구에 대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이 2년 연장됐다”며 “정부에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연장 신청 및 14개 사업 884억원 규모의 지원대책을 건의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왕수·정세홍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