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자치경찰위원회와 울산경찰청은 지난 12~25일까지 2주간 ‘자치경찰에게 바란다’를 주제로 실시한 합동 설문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오는 7월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에 앞서 지역의 불안요인을 파악하고, 자치경찰이 중점을 둬야 할 활동 목표를 정하고자 실시됐다.
조사 내용은 △지역의 전반적인 안전성 △치안 불안 요인 △생활안전·사회적 약자 보호·교통안전 등 분야별 중점 경찰 활동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기대 효과와 인식 등 총 15개 문항(일부 복수 응답)으로 구성됐다.
조사에는 울산시민 총 1356명(남 514명, 여 842명)이 참여한 가운데 연령은 40대(406명·29.9%), 성별은 여성(842명·62.1%), 지역은 남구(674명·49.7%)가 참여 비중이 높았다.
자치경찰에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범죄 예방 활동은 범죄예방시설(CCTV 등) 설치(39.5%)와 순찰 강화(31.3%) 등으로 조사됐다. 또 응답자들은 자치경찰제 도입에 의한 기대효과로 지역 맞춤형 치안서비스 제공(47.2%), 경찰과 주민간 협업·참여·소통 증진(25.9%) 등을 꼽았다.
전반적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대체로 안전하다(안전하다 또는 매우 안전하다)’는 응답이 △범죄안전 분야 43.9%(불안 14.3%) △교통 분야 28.8%(〃 20.2%)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 24.3%(〃 25.6%) 등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생활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장소로는 주거지역(34.3%)과 유흥·번화가(30.3%)라고 답했다. 주거지역이 높은 것은 1인 여성가구가 늘고 있고, 가정폭력과 성폭력 등 최근 이슈가 된 사건사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자치경찰제도에 대해서 ‘대체로 모른다’(39.1%)는 응답이 높아 시민들에 대한 제도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태근 울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의 의견을 치안정책에 충실히 반영해 시민이 느끼는 불안요소를 선제적으로 해결할 것”이라며 “자치경찰제 시행의 주인인 울산시민과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