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울산경찰청과 공조 수사를 통해 보덕사 관음전에서 도난당했던 ‘석조관음보살반가상’ 한점을 온전하게 회수해 이달 중 돌려준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도난 사건은 지난해 12월24일 야간에 발생했다. 피의자 A씨는 보덕사에 침입해 불전함과 석조관음보살반가상을 자신의 차량으로 훔쳐내 창고에 보관했다. 문화재청은 울산경찰청과 탐문 수사 및 폐쇄회로 티비(CCTV) 분석을 통해 15일 만에 A씨를 검거하고 불상을 회수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사법 절차가 마무리돼 불상을 보덕사에 돌려주게 됐다. A씨는 자신이 소유한 개인 사찰에 모시기 위해 불상과 불전함을 훔쳤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보덕사의 석조관음보살반가상은 국보나 보물 등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문화재로, 제작 시기는 조선 후기인 17~18세기로 추정된다. 경주 일대에서 나오며 경주석이라고 불리는 불석(佛石·Zeolite)으로 만들어졌다.
불상의 높이는 57㎝이며 바위에 앉아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반가좌의 자세를 하고 있다. 보살상은 사각형(방형)의 얼굴, 가늘고 긴 눈, 미소 띤 작은 입술, 옷 입은 방법과 수인의 형태 등에서 17~18세기의 보살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불석이라는 재료와 암반 위에 반가좌 자세를 한 석조관음보살상이라는 도상 측면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경찰청과의 공조수사를 공고히 하여 도난·도굴과 해외밀반출 등 문화재 사범을 단속하고, 문화재 불법유통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