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지난 2일 시청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지역 노사정 대표 및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울산자동차산업 노사정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노사정 미래포럼은 시와 고용노동부, 지역 노동계, 경영계가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전환과 고용 안정 등 현안을 논의하고 긴밀한 노사정 네트워크 구축과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공감해 작년 7월 출범했다. 이후 두 차례 포럼을 개최했다.
제3차 포럼에는 노동계를 대표해 박준석 민주노총 울산본부장과 윤장혁 금속노조 울산지부장이, 경영계에서는 이윤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과 박진태 매곡일반산업단지 협의회장, 이현덕 한국프랜지 대표가 참석했다. 공공부문을 대표해 송철호 시장과 박병석 시의장, 김준휘 울산고용노동지청장이 참석했다.
포럼에서 이영환 시 일자리경제과장은 ‘울산 자동차산업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추진 상황’, 문상식 울산일자리재단 연구평가팀장은 ‘울산 자동차 부품산업 실태조사 및 전환지도 작성’에 대해 주제 발표를 했다.
조형제 울산대 교수의 사회로 참석자 토론도 진행됐다. 토론에서는 지난해 포럼에서 도출됐던 자동차 산업의 신기술 적용에 따른 연관 산업 및 부품산업의 변화와 위기에 대한 공동인식의 연장선상으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한 시의 대책과 지역 노사정의 제안이 제시됐다.
송철호 시장은 “자동차 산업은 각종 산업에 연관 효과가 큰 산업인 만큼 지역의 자동차 산업을 더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시의 의지는 분명하다”며 “앞으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을 통해 자동차 산업 종사자의 고용안정뿐만 아니라, 은퇴자와 퇴직자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