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복되는 소방관 인명사고를 막기 위해 화재현장의 안전대응지침과 수색 매뉴얼 등 소방공무원 안전대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명래 소방교는 지난달 29일 발생한 중구 성남동 화재 현장에서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진입했다가 다시 불길이 치솟으면서 2도 화상의 중상을 입고 치료 중에 순직했다.
최근 쿠팡 물류센터 화재현장에서 숨진 김동식(52) 소방령 역시 물류센터 내 남아있을 수 있는 인명구조와 화재 진압을 위해 건물 안으로 진입했다가 진화된 것처럼 보였던 불길이 치솟으면서 맨 뒤에서 나오다 고립돼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위험직무로 순직한 소방관은 49명으로 매년 평균 4.9명의 소방관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고 있다.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들은 보통 2인 1조의 진압조와 4~5명으로 1개대로 구성되는 구조대로 나뉜다. 이들은 현장에서 순직사고를 막기 위해 독자행동을 할 수 없게 돼있고 단체로 움직여야 한다.
그런데 이번처럼 각종 재난·재해현장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변수에 효율적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의료기관이나 고층건축물, 선박 등 대형화재의 경우 획일화된 매뉴얼과 대응지침이 수립돼 있지만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현장 상황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변수가 많아 별도의 매뉴얼 등이 없다. 노명래 소방교 역시 내부에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에 현장에 진입했다가 예측하지 못한 스프레이통 등의 폭발이라는 돌발변수가 발생하면서 결국 화를 당해야 했다. 구조대만 투입된 이번 화재 현장에 진화조가 함께 투입됐다면 불상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화재현장의 안전대응지침과 수색 매뉴얼 등 안전대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현장 소방관들은 불가항력적인 현장의 특성으로 인해 순직사고나 공상자가 발생하는 건 어느 정도 감내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라면서도 이번 사고를 계기로 출동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상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와 관련해 소방청은 매년 소방관 순직사고가 이어지자 소방공무원 현장 안전사고 방지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종합적인 대책 수립에 나서기로 했다. 소방청은 한달 정도 TF팀을 운영하면서 기존 소방공무원 안전대책을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세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