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2021년 시정 핵심과제인 ‘시민이 주도하는 마을 뉴딜 구현’을 위해 전국 최초로 ‘시민 참여형 마을 교부세 사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시민 참여형 마을 교부세 사업은 개인분 주민세를 해당 지역으로 환원해 주민이 직접 집행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지역의 문제를 주민이 직접 발굴하고 해결, 행정에서 마을 공동체 중심으로 사업의 추진 방식을 전환한다.
시는 지난해 9월 울산형 마을 뉴딜 추진 계획을 수립한 뒤 공모를 진행했고, 올해 제2회 추경에서 지역 주도형 시민참여사업 예산도 편성했다. 시가 편성한 예산은 특별조정교부금 8억원을 포함해 총 39억1200만원이다.
지난 6월18일까지 5개 구군을 대상으로 시민참여형 마을 교부세 사업 신청을 접수한 뒤 주민참여위원회 제2차 운영위원회에서 총 132건의 사업을 최종 심의·확정했다.
사업 분야별로는 ‘환경개선’이 71건(53.7%)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안심’ 24건(18.1%), ‘주민자치’ 10건(7.5%), ‘지역특화’ 9건(6.8%), ‘문화관광’ 8건(6%), ‘보건의료’ 7건(5.3%), ‘사회복지’ 3건(2.2%) 순이었다.
‘환경개선’ 사업은 공원이나 쉼터 조성, ‘안전안심’은 취약지역 등 방범용 CCTV 설치, ‘주민자치’는 주민소통방과 마을방송국 설치 등이 확정됐다.
‘지역특화’ 사업은 성안옛길 정비와 홈골 힐링파크 만들기, ‘문화관광’은 박상진 호수공원 내 대형 우체통 설치와 무거설화축제 개최, ‘보건의료’는 체온측정 자동 손세정제 설치, ‘사회복지’는 주민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착한가게 지도 제작 등이 포함됐다. 사업들은 이달부터 본격 실시된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