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업박물관·미래과학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상태바
[사설]산업박물관·미래과학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 정명숙 기자
  • 승인 2019.11.20 2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최근 산업기술박물관과 국립체험형미래과학관 건립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으로 추진하던 산업기술박물관은 규모를 줄이되 정부의 지원을 받아 시가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미래과학관은 송철호 시장의 공약으로 국립으로 추진해왔으나 정부가 규모를 줄여 지자체 공모를 실시하기로 함에 따라 전략을 수정해 공모에 도전할 것이라고 한다. 두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만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으나 결코 쉬운 일이 아닌만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산업기술박물관과 국립체험형미래과학관은 시대적 범위와 콘텐츠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공간이 될 수도 있고, 비슷한 기능의 공간이 될 수도 있는 시설이다. 만약에 울산시가 2개의 시설을 동시에 유치해 나란히 건립한다면 수년전부터 우리가 희망해온 국립산업기술박물관에 버금가는 시설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이다. 수년전부터 울산시민들이 염원해온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과정과 미래 첨단산업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대규모 박물관 겸 과학관이다.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관심이 높은 개발도상국의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한편 우리 국민들에게 미래산업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수백억~수천억원의 국가예산이 들어가는 시설 2개를 한꺼번에 울산에 유치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울산시가 이들 시설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주민들의 문화생활 고취에 그치지 않고 산업도시로서의 문화적 역량 강화를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에 있다면 소규모 시설로는 목적달성이 가능하지도 않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문재인 정부 들어 슬며시 사라진 의제가 돼버렸지만 지역사회의 기대감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울산시민들의 열망이 워낙 높았을 뿐 아니라 정부가 우리나라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는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을 세운다면 그 장소는 반드시 울산이 돼야 한다는 당위성을 외면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공허한 기대감은 시정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울산시는 정부의 입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시의 계획도 공식적으로 명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알려진 바로는 국립이 아닌 일부 사업비를 울산시가 충당하는 산업기술복합문화공간 설립을 목표로 정부의 지원요청에 나섰다. 정부의 미래과학관 공모에는 30여개 지자체가 신청할 것이라고 한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여론을 수렴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