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장애인의 지역 사회 자립 지원을 위해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5개년 기본계획(2021~2025)’을 수립하고 적극 추진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만 18세 이상 중증 장애인 200명을 대상으로 자립생활 실태를 조사했다. 시는 또 올해 3월 장애인복지소위원회를 구성하고 4~6월 3차에 걸쳐 장애인 및 단체,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시는 자립생활 실태 조사와 전문가 의견 수렴 결과 등을 토대로 장애인이 지역사회 일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5개년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기본계획은 ‘장애인과 더불어 행복한 도시 울산’이라는 비전 아래 6대 분야 14개 정책 과제와 60개의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6대 분야는 △일상생활 지원 강화 △자립생활 지원 확대 △경제적 자립 강화 △교육·문화·여가 기회 보장 △주거 및 이동편의 증진 △건강한 생활 지원이다.
시는 일상생활 지원 강화를 위해 가족 역할 강화를 지원하고 장애인 권익을 옹호한다. 기존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 사업 외에 긴급돌봄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수어통역센터도 권역별로 설치·운영한다.
자립생활 지원 확대를 위해 장애인탈시설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시각장애인복지관과 점자도서관을 신축 이전한다. 북구장애인복지관을 신축하고 자립홈 설치도 확대한다.
장애연금 지원을 9232명에서 9620명으로 확대 지원하고 자립생활지원센터 대상자를 1165명에서 1455명으로 확대하는 등 경제적 자립을 강화한다.
교육·문화·여가 기회 보장을 위해 장애인예술단 운영을 지원하고 평생교육 지원 사업 대상자를 확대한다.
주거복지센터를 신규 설치하고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대상자를 확대하는 등 주거 및 이동편의 증진도 추진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전환과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은 확대 추진에도 불구하고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장애인이 지역 사회에서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비장애인과 함께 자립해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