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시교육청이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선 가운데 장애인 인권 단체 등이 재발방지를 위한 철저한 전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1일 울산성폭력상담소에 따르면 지적장애 3급인 40대 여성 A씨는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11개월간 장애인 기관 교장 B씨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며 최근 상담을 받았다. 사건은 상담소를 통해 경찰에 접수됐으며, 경찰이 조사에 착수하려던 찰나 B씨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
사건이 발생한 장애인 시설은 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시설로, 지난 2009년 울산시와 시교육청으로부터 기금을 출연받아 설립됐다. 학교에는 장애인 25명과 교사 4명이 등록돼 있다.
특히 B씨는 학교의 초대 교장이자 최근까지 교장직을 수행했으며, 진보교육 인사로 각종 시민단체와 장애인 단체의 대표로도 활동했던 터라 지역사회에 파장이 크다.
장애인 시설은 설립 이후에도 매년 시와 교육청으로부터 인건비와 임대료, 운영비 등을 지원받아 운영됐다.
시는 매년 1억여원의 예산을 지원하며 정산은 분기에 한번, 운영 전반에 대한 지도점검은 1년에 한번 실시해왔다.
교육청 또한 주기적으로 예산 운영과 회계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지만, 학교 내부의 운영실태에 대한 점검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해당 사건을 언론을 통해 알게되면서 당황스러운 상황이다. 이같은 평생교육기관이 지역에 30여곳이 넘다보니 운영실태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울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울산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울산여성연대 등 장애인·여성 인권단체들은 지난 30일 일제히 성명서를 내고 시와 시교육청에 해당 사건에 대한 전수조사를 촉구했다.
이들은 “사건과 관련해 추가적인 피해사실이 있는지 철저한 전수조사를 촉구한다. 특히 해당 학교장과 특수관계인 및 단체를 배제해 투명하고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진상을 면밀히 밝혀야 한다”며 “이와 함께 해당 사건의 피해자 보호 및 지원대책, 2차 피해방지를 위한 대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