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에 ‘촉각’
김기현 전 시장에 대한 청와대 ‘하명수사’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지방경찰청 관계자들은 어수선한 가운데 극도로 말을 아끼면서 검찰의 수사 방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황운하(현 대전지방경찰청장) 울산지방경찰청장 시절 지능범죄수사대에서 김 전 시장과 관련한 사건을 맡아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난 관계자들은 외부의 전화에 일절 대응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황 청장은 울산지방경찰청 부임 이후 지난 2017년 10월 지능범죄수사대 경위 2명과 경정을 다른 부서로 발령했다. 울산지역 건설업자 A씨가 사업을 수주할 수 있도록 김 전 시장 동생이 도와줄 경우 30억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의 계약서 존재 자체를 숨기는 허위 보고의 책임을 물어 황 청장이 이들을 다른 부서로 발령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 의욕을 보이며 시작한 정치인 관련 비리 수사 결과물이 잇따라 무혐의 처분되고, 검찰로부터 지난 4월 압수수색을 받은 데다 청와대 ‘하명수사’ 논란까지 이어지면서 울산경찰 조직 전체가 말을 아끼고 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느냐”며 질문 자체에 손사래를 쳤다.
울산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사건이 이첩되고, 검찰에서 수사 중인 사안인 데다 청와대가 ‘하명수사’가 아니라는 입장을 내고 있는 상황에 관계자들이 자칫 구설에 오를 수 있다는 생각으로 공개된 내용 조차도 말하기를 꺼리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결국에 올 것이 왔구나 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 전 시장에 대한 경찰 수사를 두고 내부적으로도 오해를 받을 소지가 있는 수사라는 인식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봉출기자 kbc7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