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개발 계획과 관련해 사업 부지 내 공원·녹지가 한쪽에 집중 배치되면서 산업시설 등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각종 환경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어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업 승인기관인 울주군과 협의기관인 낙동강유역환경청은 현재 계획된 특화단지 내 녹지·공원이 적절한 생태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계획 수정을 요구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사업의 전체 부지 면적은 153만2534㎡로, 공원·녹지 비율이 23.6%(36만1500㎡)를 차지한다.
우선 울주군은 복합특화단지 남쪽에 주로 배치된 완충녹지를 우측 산업시설 용지 주변으로 추가 배치해 대기 및 소음·악취 오염 물질 차폐 기능을 높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악취 발생에 대비해 정화 또는 차단 능력이 우수한 수종을 심어 녹지 기능을 보강하는 한편 차단녹지 면적을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산업시설 용지에 입주 예정인 업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염물질에 대해 중점적으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항목별 환경오염 저감 방안을 제시해달라고 요구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역시 완충녹지 기능을 극대화할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낙동강청은 사업에 따른 훼손 수목이 9만5815그루에 달하지만 4.5%에 불과한 4323그루만 이식하겠다는 계획이 세워진데 대해 최소 10% 이상을 사업 부지 내부 녹지에 이식하는 방안을 검도해달라고 요구했다.
도시개발에 따른 환경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홍수 등에 대한 피해 예방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울산시는 해당 사업구역 내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 면적이 늘어남에 따른 홍수 가능성, 하천 건천화, 지하수위 저하, 도심 열섬화 등을 고려해 분산식 빗물 관리 방식인 저영향개발기법(LID)을 적용하고 도로, 주차장 등 포장이 불가피한 경우 투수 블럭 등 투수성·다공성 친환경적 포장재료를 사용해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울산도시공사(지분 39%)와 울주군(16%), 한화도시개발(45%)이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인 울산복합도시개발은 제시된 의견을 검토·반영한 뒤 환경영환평가 본안 협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