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2020년 5월 재개관한 상설전시실2는 전통 공예기술과 생활관습 부문을 중심으로 운영 중이며. 이번에 선보이는 상설전시실1은 전통공연·예술과 의례·의식, 전통놀이·무예, 전통 지식 등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했다.
전시 주제인 ‘일상의 흥과 풍류’는 변화무쌍한 자연환경과 역경 속에서도 삶의 여유를 잃지 않고, 예술의 형태로 승화해 이겨내고자 한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시는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 △일과 놀이, 다져지는 공동체의 힘 △기원과 축제, 내일의 안녕으로 나뉜다. 지방에서 전승된 현악 합주곡 영산회상을 뜻하는 ‘향제줄풍류’와 판소리 다섯 마당을 감상하고, 처용무의 과거와 현재 모습을 비교할 수 있다. 평택농악, 구례잔수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등 지역별 농악 의상과 소품도 공개됐다.
먼저 도입부에서는 3차원 입체 프로젝션 맵핑으로 연출한 자연 영상을 통해 선조들의 일상으로 유도한다. 이어서 ‘음악과 춤, 삶의 여유 그리고 풍류’에서는 삶의 희로애락을 즐기고 위로한 전통공연·예술 분야 무형유산을 확인할 수 있다. ‘일과 놀이, 다져지는 공동체의 힘’에서는 마당 공간에서 펼쳐지는 줄다리기와 농악 등을 다양한 전시품으로 소개한다. 전통사회는 명절과 정월대보름처럼 특별한 때가 되면 놀이를 즐기며 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했다.
마지막으로 ‘기원과 축제, 내일의 안녕’에서는 일상이 무사히 영위되기를 바란 염원이 담긴 무형문화재를 소개한다. 이 밖에 전통문화를 지키며 계승해 온 국가무형문화재 작고 보유자의 삶과 업적을 조명하는 공간인 ‘무형문화재기념관’을 상설전시실1로 옮겼다.
국립무형유산원 관계자는 “실감형 콘텐츠를 적극 활용해 국가무형문화재를 보다 친밀하게 감상할 수 있게 했다. 신기술 등을 적극 활용해 무형유산이 국민에게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상설전 관람은 무료이며, 월요일은 휴관한다. 무형유산원은 전북 전주에 있다. 문의 063·280·1467.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