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기술강소기업 54곳 울산에 터 잡았다
상태바
올해 기술강소기업 54곳 울산에 터 잡았다
  • 이형중 기자
  • 승인 2019.12.16 2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 당초 목표 50개사 상회

129명의 고용 창출 효과도

향후 10년간 500개 유치 목표

이전·창업 업체 인센티브 강화
▲ 울산시는 16일 송병기 경제부시장 주재로 올해 마지막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 전략 회의를 열고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추진 성과에 대해 평가하고 내년도 추진 전략과 방향을 모색했다.
올해 타지역 기술강소기업 54개사가 울산으로 연구소나 자회사를 이전해 대·중소기업 협력강화는 물론 R&D 기반확충으로 산업생태계 활성화가 기대된다.

울산시는 16일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올해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추진성과에 대해 평가하고 내년도 추진전략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올 한해 이전 및 창업한 기술강소기업 54개사를 유치했다. 당초 목표 50개사를 웃도는 실적으로, 129명의 고용창출효과도 거뒀다.

주요 이전 및 창업한 기술강소기업을 보면 (주)두산 퓨얼셀BU는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관련한 사업화 실증을 위해 연구소를 이전했고, (주)윈테크는 울산테크노파크와 공동기술개발을 통한 에너지 분야 사업 다각화를 위해 연구소를 이전했다. 메탈쓰리디는 3D프린팅 장비업체로 자회사를 울산으로 이전해 온 기업으로 3D프린팅 제품 생산 및 서비스 분야에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은 ‘기술강소기업 허브화로 울산경제 재도약’을 비전으로 2028년까지 10년간 500개 유치 목표로 추진된다. 시는 원활하게 진행한다면 기술 중심 일자리 1만 개를 창출하고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하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울산시는 앞서 3월 기술강소기업 집적화 단지 조성과 입주 공간 조성, 경제자유구역 지정, 투자유치 추진 체계 구축 등 10개 세부과제를 내용으로 하는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사업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기반 조성(2019년), 본격 추진(2021~2022년), 정착(2023~2028년) 등 3단계로 추진된다.

8월에는 울산으로 이전·창업하는 기술강소기업에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조례와 규칙 개정을 마무리하고, 보조금 지원 지침 제정을 통해 기업에 입지 지원, 장비 구입 보조, 고용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기업 하기 좋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추진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지정 신청을 하고 내년 초 예비지정을 거쳐 상반기 확정될 것으로 전망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다른 지역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며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이 기술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하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업인 만큼, 내년에도 잠재력이 있는 기업을 유치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