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낮춘 대통령실…‘용산시대’ 개막
상태바
문턱 낮춘 대통령실…‘용산시대’ 개막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2.05.0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20대 대통령 취임을 앞둔 8일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 작업자들이 새 정부 출범 기념 현수막을 걸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10일 출범 예정인 윤석열 정부 ‘용산 대통령실’의 면면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북악산 기슭의 구중궁궐 같은 청와대가 자유 민주주의 원리에 역행하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배경이 됐다고 보고 이 틀을 과감히 깨는 데에서부터 개혁을 시작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8일 대통령 취임준비위원회 등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취임 당일 오후부터 국방부 청사 5층에 마련된 새 집무실에서 업무를 개시한다. 기존 청와대는 곧바로 일반 시민들에게 전면 개방한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 청사 2층의 주 집무실과 5층의 보조 집무실을 오가며 일한다. 5층 집무실은 애초 2층 공사가 늦어지면서 취임 직후 임시로 사용하려고 마련한 공간이지만, 다음 달께 메인 집무실이 완공된 후에도 유지하기로 했다.

양쪽 집무실 모두 회의실과 접견실을 갖추고 있다.

2층은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사무실과 부속실, 경호처 관계자들이 쓰는 일부를 빼면 전부 대통령 업무 공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국무회의나 수석보좌관 회의 등이 2층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도 가능하다.

2층에는 최대 200명이 들어갈 수 있는 대규모 시설도 마련된다. 외빈을 위한 환영 만찬을 여는 등 간이 영빈관 기능을 할 것으로 보인다.

3층엔 비서실 중추를 이루는 5수석 대부분과 일부 비서관들이 입주한다. 대통령 집무실을 수시로 오르내리며 소통할 수 있도록 한 배치다.

나머지 4층부터 10층까지는 비서실, 경호처, 민관 합동위원회가 골고루 포진한다. 이동식 칸막이로 언제든지 공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같은 건물 지하 2·3층에는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설치됐다. 각종 재난이나 북한 도발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이미 시험 가동 중이다.

집무실 외곽에는 기존의 높은 담벼락을 철거하고 안이 들여다보이는 2.4m 높이의 울타리를 칠 계획이다.

미군기지 부지였던 주변 공터를 시민 공원으로 탈바꿈시켜 누구나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친근한 집무실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분야별 민관 합동위원회를 통해 외국인을 포함한 민간 전문가에 문호를 개방하고, 국가적 의제를 발굴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정책실을 없애는 대신 비서실장 직속 경제수석실과 사회수석실에는 국장급 공무원들을 비서관으로 들였다.

대통령 전용 엘리베이터도 따로 두지 않았다. 대통령이 참모들과 자주 마주치며 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TF 관계자는 설명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