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취임 6일만인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박병석 국회의장을 비롯해 여야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첫 시정연설에서 “민생 안정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점을 고려해 추경이 이른 시일 내 확정될 수 있도록 국회 협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초당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 당국의 호응이 있을 경우 코로나 의약품 등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는 의사도 재확인했다.
오는 21일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참여를 논의하겠다는 방침도 처음 밝혔다.
윤 대통령은 추경을 통한 소상공인의 온전한 손실보상 방침을 밝히면서 “2년간 코로나 방역에 협조하는 과정에서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고 민생경제는 지금 위기다. 이렇게 발생한 손실을 보상하는 일은 법치 국가의 당연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새 정부의 5년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할 매우 중요한 시간이다. 우리가 직면한 위기와 도전의 엄중함은 진영이나 정파를 초월한 초당적 협력을 어느 때보다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2차 세계대전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에서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은 전시 연립내각을 구성하고 국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위기에서 나라를 구했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진정한 자유민주주의는 바로 의회주의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 국정 운영의 중심이 의회다. 지금 대한민국에는 각자 지향하는 정치적 가치는 다르지만 공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꺼이 손을 잡았던 처칠과 애틀리의 파트너십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처칠과 애틀리 파트너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보수당인 윈스턴 처칠 총리와 노동당 당수 클레먼트 애틀리를 부총리로 임명해 국정을 운영한 것을 이른다. 한국이 직면한 위기를 타개하려면 이처럼 초당적 협력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