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반성과 사죄의 뜻을 담아 한 긴급 기자회견을 놓고 윤호중 비대위원장 등과 이상기류를 드러내며 이틀째 파열음을 내고 있다.
기자회견의 형식과 내용을 두고 윤호중 공동비대위원장과 갈등이 심해지며 당 투톱을 비롯한 지도부의 자중지란이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다.
당안팎에선 이 같은 양상이 선거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등 혼란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박 위원장은 25일 국회에서 열린 당 선대위 합동회의에서 “반성하지 않는 민주당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더 깊어지기 전에 신속히 사과하고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고 호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86(80년대 학번·60년대생)그룹 용퇴론’을 두고도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정착시키는 역할을 완수한 만큼 아름다운 퇴장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동석한 86그룹인 윤 위원장과 박홍근 원내대표, 김민석 선대위 공동총괄본부장 등을 앞에 두고 86퇴진론을 면전에서 꺼낸 셈이다.
김 본부장은 당장 우회적으로 불쾌감을 표시하며 “질서 있는 혁신 과정에서 각종 현안이 당헌·당규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다. 민주당은 지도부 일방 또는 개인의 지시에 처리되는 정당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선대위가 비공개로 전환되자 참석자 다수는 박 위원장의 태도를 성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진의원은 “무슨 말을 해도 좋은데 지도부와 상의하고 공개 발언을 하라”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결국 “이게 지도부인가”라고 말하고 회의실을 떠났다.
당은 이 같은 지도부 내 갈등의 악영향을 우려한 듯 박 위원장의 언급을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신현영 대변인은 선대위 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박 위원장 발언은 당의 혁신과 개혁을 위한 개인 의견이다. 다만 선거 전 서둘러 반성하는 것이 국민에게 얼마나 진정성 있게 다가갈 것인지는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당 대변인이 대표격인 비대위원장의 발언에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반성과 사과를 둘러싼 당 지도부 내의 갈등이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윤 위원장은 취재진과 만나 “저는 당을 대표하는 입장이다. 박 위원장이 향후 정치적 행보를 시사하는 기자회견을 하는데, 개인 행보에 대해 당이 협의를 해줘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박 위원장도 “같이 사과하는 게 맞는다고 판단했지만 윤 위원장이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고, 타이밍이 맞지 않다고 했다. 적어도 민주당이라면 다양한 의견을 분명히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김기현 공동선대위원장은 민주당 박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의 대국민 사과에 대해 같은 당 윤 공동비대위원장이 개인 차원의 의견이라고 한 것을 두고 “이중플레이”라고 비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