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당선인은 “이 두 사업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울산의 관점에서 볼 때 실질적 이익에 부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서 실현 가능성과 울산에 이익이 되는지 철저히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당선인은 “해상풍력사업의 경우 일자리 창출 방안, 발전 규모, 국내업체 참여 등 모든 면에서 구체화한 것이 없다고 판단한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이후 결과가 도출되지 않으면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김 당선인은 “에너지 산업인 원전과 부유식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추진하는데 반대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울산에 실질적 이득이 되고 실현 가능성이 보일 때까지 이 사업의 속도조절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당선인은 또 중앙 집중을 견제하기 위해 전 정부가 추진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서도 “울산에 이익이 되는 쪽으로 속도조절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 당선인은 “수도권 집중을 지방이 대응하는 이 방안에 대해 반대하지는 않지만 부산과 울산, 경남이 메가시티를 구성하면 울산 경제가 대도시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울산시장으로 울산 경제가 손해 볼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당선인은 “울산으로선 신라권인 경주와 포항 두 도시와의 동맹을 더 강화한 후 경쟁력을 갖추고서 메가시티에 참여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며 “메가시티가 그리 급한 일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