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 경선룰 정비 후폭풍
상태바
민주당 전당대회 경선룰 정비 후폭풍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2.07.06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더불어민주당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5일 국회 소통관에서 전당대회 룰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성호·정청래·박주민·김병욱·양이원영·김남국·김용민·장경태 의원(왼쪽부터).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8·28 당권경쟁을 앞두고 경선룰 정비를 놓고 초반부터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여기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회로부터 전당대회 출마 불허 판단을 받은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나에겐 이미 피선거권이 있다”며 반기를 들고 후보 등록을 강행하겠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있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 파행

5일 당에 따르면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의 의결안 일부를 뒤집은 것을 두고 곳곳에서 강한 반발이 터져 나오며 일대 혼란에 빠져드는 모양새다.

급기야 안규백 전준위원장은 이날 위원장직에서 전격 사퇴했다. 일각에선 비대위의 결정을 되돌리기 위한 연판장까지 돌았다.

무엇보다 비대위가 당대표·최고위원 예비경선(컷오프) 선거인단을 기존대로 중앙위원들이 독식하도록 한 것이 뇌관으로 작용했다.

전날 전준위는 ‘중앙위 100%’였던 예비경선 투표 비중을, ‘중앙위 70%·국민 여론조사 30%’로 변경했다. 하지만 비대위는 이를 원 위치시켰다.

비대위의 번복 결정이 나오자 당내 성토가 빗발쳤다. 주로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앞장섰다.

이 고문의 최측근인 정성호 의원을 비롯한 친이재명계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대위가 당원들의 투표권을 제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절차마저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며 비대위의 결정을 되돌리기 위한 ‘전당원 투표’를 요구했다.

회견 성명서에는 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총 38명의 의원이 서명했다.

우상호 비대위가 예비경선에 민심을 반영하지 않기로 한 것은 사실상 이재명 상임고문을 컷오프 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친이재명계 김남국 의원은 “지금 이런 전대 룰이라면 이재명도 얼마든지 컷오프될 수 있다. 비대위의 결정은 민주당의 민주주의를 죽인 것”이라고 비난했다.

비이재명계에선 본선에서 실시되는 국민 여론조사를 민주당 지지층과 무당층을 상대로만 하도록 한 ‘역선택 방지’ 규정을 그대로 놔둔 데 대해 화살을 돌렸다. 역선택 방지 조항으로 인해 사실상 강성 당원의 여론만 ‘일반 민심’으로 반영된다는 주장이다.

친이재명계에서는 권역별 득표제가 최고위원 출마를 검토 중인 수도권 강경파 초선 의원들의 ‘지도부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구심마저 품고 있다.

◇박지현 당권도전 강행

박 전 비대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나는 피선거권을 부여받아 당헌에 의해 선출된 비대위원장이었고, 그간 당이 내게 준 피선거권을 박탈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박 전 위원장은 “지난 4월1일 당의 대의기구인 중앙위원회에서 투표를 통해 84.4%의 찬성을 얻어 비대위원장, 즉 임시 당 대표로 선출됐다. 이는 비대위원장의 정통성을 인정하기 위한 당의 조치였고, 당은 그때 한 달 된 당원인 내게 피선거권을 줬다”고 했다. 이어 “당시에 투표로 선출됐다는 것은 곧 피선거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부여된 피선거권이 있다가 없어질 수 있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