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화학과 권태혁 교수팀이 정상세포 환경에선 안정하게 항암제를 보관하고, 빛이 쬐어진 암세포 환경에서만 항암제를 방출하는 ‘나노젤 광감각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광역동 치료는 빛에 반응해 활성산소(독성)를 만드는 ‘광감각제’로 암세포를 사멸하는 방법이다. 광감각제가 활성산소를 더 많이 만들게 하려고 중금속을 연결하는 방법이 많이 쓰이는데, 이 경우 체내 부작용이 야기된다.
권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에 잘 녹으면서 생체에도 적합한 ‘고분자 기반 나노젤’로 광감각제를 감싸는 방법을 선택했다. 나노젤은 정상적인 환경에서 광감각제를 보호해 체내 독성을 줄이고, 치료가 필요한 암세포에 빛을 쪼이면 활성화돼 독성을 높였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