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지역 경제 혁신 추진단을 가동하고 AI 경제 예측 모형을 활용, 울산 경제·고용위기에 선제 대응하기로 했다. 또 지역 경제 위기대응 최고 협의기구인 지역 경제 혁신 민·관 합동회의를 구성해 지역 역량을 결집하고 신속한 위기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시는 20일 시청 상황실에서 안효대 경제부시장 주재로 울산상공회의소, 한국은행 울산본부, 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 등 주요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지역 경제 혁신추진단 회의’를 열었다.
시는 AI를 기반으로 한 울산 경제지표 분석 및 예측 모형을 개발해 이를 바탕으로 상황 판단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예측값이 과거 GRDP 증가율 평균값(2.12%)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4단계(상승, 유지, 주의, 심각)로 분류된다.
또 울산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울산 빅데이터 센터에 AI 경제예측 모형을 탑재해 울산 경제 빅데이터 플랫폼을 만들고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경제·고용위기 대응 시스템을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시는 울산시장 주재로 지역 경제 혁신 민·관 합동회의를 구성하고 민생경제 회복 방안과 경제 위기 정책 시행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TF형 지역 경제 혁신추진단도 가동된다. TF형 추진단은 경제·고용 총괄 대응, 산업 위기 대응, 투자유치·통상 대응, 물가 안정·중소기업 지원, 규제 개선 추진 등 총 5개 반으로 구성된다.
시는 TF형 추진단을 통해 2025년까지 412억원을 들여 자동차 고용안정 선제 대응 패키지, 30억원을 투입해 현대차 산업전환 공동훈련센터 운영 등 주력산업 고용위기 대응 시책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는 이날 회의에서 나온 주요 안건인 산업용 전기 요금 인상 최소화, 외국인 고용허가제 규제 완화, 근로시간 유연화 등 지역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안 경제부시장은 “고물가, 고금리 등 비상 경제 상황으로 지역 기업들의 애로사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서 “지역 경제 혁신추진단 활동이 다양한 정책 발굴과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 창구가 되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재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