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군 주민자치프로그램 ‘주먹구구’ 운영
상태바
구군 주민자치프로그램 ‘주먹구구’ 운영
  • 신동섭 기자
  • 승인 2022.09.2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울산지역 각 구·군에서 운영하는 주민자치프로그램(주민자치센터프로그램)의 온라인 신청이 되지 않아 수강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더욱이 강좌 내용에 대한 설명조차 없이 제목만으로 신청을 받는 등 주먹구구식 운영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에 일부 구·군이 자체 온라인 신청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하면서 예산낭비라는 지적과 함께 울산시 차원에서 온라인 신청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0일 지역 구·군에 따르면 남구를 제외한 구·군 홈페이지의 주민자치프로그램 게시판은 현재 인터넷 신청이 안되고 현장접수만 가능하다. 남구 또한 온라인 신청 자체는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강좌가 현장접수만 받고 있다.

더욱이 구·군 모두 강좌에 대한 상세 내용 소개 없이 강좌 제목 만으로 수강 신청을 하도록 돼있다.

구·군은 강사 모집 시 강의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했지만 정작 강좌 소개란에는 강의계획서를 등록하지 않거나 소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 17일 북구청 자유게시판에는 모문화센터 교육프로그램이 센터에 직접 방문해야만 알 수 있고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글이 올라왔다.

A(38·북구)씨는 “메타버스를 운운하는 시대인데 모바일 신청은 고사하고 온라인 신청도 불가능하다니 이해할 수 있겠느냐”며 “게다가 강좌 소개글도 없어 센터에 찾아가서 알아보거나 제목으로 유추해야 하는데 수강을 하라는건지 말라는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동구는 온라인 신청 시스템 도입을 위해 1800만원의 예산을 신청한 상태다. 울주군은 온라인 신청과 온·오프라인 카드결제 시스템 도입을 위해 18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기능 추가 및 홈페이지 리뉴얼 중이며 10월말까지 테스트를 끝낸다는 방침이다.

구·군의 자체적인 시스템 도입 추진에도 예산 중복 지적과 함께 울산시 차원의 일괄 신청 플랫폼 제공 필요성도 제기된다.

B(48·남구)씨는 “구·군이 동일한 목적의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도입한다면 결국 예산낭비가 될 수 있다”며 “차라리 시 차원에서 지역 주민자치프로그램을 취합해 관리하는 사이트를 개설하거나 기능을 시 홈페이지에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동섭기자shingiza@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