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남구에 동시다발적으로 재건축이 이뤄지면서 곳곳에서 주민 안전과 관련된 크고 작은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주변 환경이나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재건축이 이뤄지면서 가장 중단한 안전 문제가 뒷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남구 신정동 거마로 133길~봉월로 일원에는 주상복합 건축을 위해 건물 해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공사로 발생한 건축 폐자재와 깨진 화병, 유아 카시트 등 생활폐기물이 현장과 인접한 인도와 벤치에 쌓여있어 보행자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남구 신정동 C-03 구역 가운데 놓인 한 소형아파트는 수년째 사방에서 재건축이 이뤄지면서 소음·분진 등에 노출돼 있다. 아파트에는 ‘주민고통 외면하는 울산시는 각성하라’ 등 플래카드가 내걸려있다.
주민들은 이후 주변으로 고층 아파트 등이 들어서면 사실상 고립될 가능성이 커 공사 후의 상황도 우려하고 있다.
지난 6월7일에는 팔등로 일대 건물 철거 작업 중 비계 파이프가 무너져 일대 137가구가 정전되기도 했다.

재건축이 중단되면서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도 있다.
달동 봉월로 인근의 2019년 10월 입주 예정이던 한 주상복합건물도 공사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다 잠정중단되면서 80%가량 완공된 건물 내부에는 폐기물과 오래 돼 녹슬어 버린 철근 등이 쌓여있다. 이달 연달아 울산을 강타한 태풍 힌남노와 난마돌로 건축물 주변 안전망이 떨어지거나 위태롭게 붙어있어 지자체가 시정조치 권고했지만 개선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주민들은 공사로 발생되는 소음·분진, 폐기물 보행로 적치 문제 등 기본적인 안전 확보에 대한 검토없이 무분별하게 재건축이 이뤄지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11월 소규모 재건축 허가 요건이 완화되면서 좁은 면적에 공사가 가능해져 이같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동시다발적 공사로 정체된 도로가 늘어나면서 차량운전자들도 불만이다.
지자체 한 관계자는 “시공사 주도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관계 기관이 적극 개입하기는 한계가 있다”면서 “민원이 발생하면 현장 점검 후 시정조치나 안전점검 등 즉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