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 처리 골머리
상태바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 처리 골머리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2.12.1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3일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 해변에서 동구청 작업반원들이 파도에 떠밀려온 괭생이모자반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해마다 해안가와 해수욕장으로 밀려들어 미관을 저해하고 악취를 풍기는 괭생이모자반 처리에 지방자치단체들이 골머리를 앓고있다. 식용이 불가능해 해안쓰레기로 취급되는 괭생이모자반은 지자체가 공공인력을 투입해 처리하고 있지만 일자리 기간이 끝나면 수거에 공백이 생겨 민원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 12일 동구 일산해수욕장 일원에는 바다에서 밀려들어온 괭생이모자반이 해변을 따라 2~3m 폭으로 길게 늘어져 쌓여있다. 동구 공공인력 13명이 투입돼 수거작업이 진행됐지만 바닷물에 괭생이모자반이 둥둥 떠다니고 있어 언제 해안가로 밀어닥칠지 알수 없는 상황이다.

현장 관계자는 “많을 때는 하루에 수백자루, 무게로는 3t이상을 수거하는데, 인력이 부족해 주전까지 돌고오면 다시 쌓여있다”고 토로했다.

괭생이모자반은 톳과 비슷하게 생긴 해조류의 일종으로 날이 추워지는 12월부터 2월까지 주로 출몰하지만 태풍 등 강한 바람이 불면 6월에서 8월께에도 해변에서 발견된다. 괭생이모자반이 해변에 쌓여 부패하기 시작하면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악취가 나기도 하고 널브러진 해초들은 해변의 미관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주로 제주나 전라도 지역에서는 중국에서 밀려드는 괭생이모자반에 어망에 붙어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지만 울산에서는 어업에 피해를 줄 정도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에 각 지자체는 괭생이모자반이 밀려드는 시기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 등을 동원해 수거에 나선다. 울주군은 진하해수욕장에 상시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 동구는 이달 23일까지는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들이 수거활동을 하지만 이후엔 내년 공공일자리 사업이 재개될 때까지 공무직 직원 등 극히 제한된 인원이 투입돼 상시 처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괭생이모자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