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차의 부품 안전성 관련 예산도 확보함에 따라 내연기관 차량 부품 기업의 미래차 전환 대응 기반도 구축하는 등 지역 주력 산업 활성화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26일 시가 발표한 2023년도 국가예산 확보 상황을 보면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성과가 눈에 띈다.
시는 국회 증액 과정에서 내년 신규 사업으로 조선해양 철의장 제조산업 디지털전환 사업비 12억원을 반영시켰다. 이 사업은 숙련 인력이 필요한 선박 의장품 생산공정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이다.
시는 조선업계의 잇단 수주에 따른 일손 부족을 우려해 2022년도 예산 반영을 추진했지만 실패했고, 재수 끝에 사업비를 확보했다. 조선업 생산인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지역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 양성 사업 예산 20억원도 국회 증액을 통해 신규로 확보했다. 이 사업은 조선업 협력업체가 신규 직원을 채용할 때 임금 보전분을 지원하는 것으로, 기술교육원 훈련 참여자에게 장려금을 지원한 데 이어 신규 인력 유입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비도 26억원에서 10억5400만원이 증액된 36억5400만원을 확보하는 등 조선업 활성화 관련 예산 확보에 큰 성과가 있었다.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부품 관련 예산도 신규·증액 확보해 부품업계 전환의 가속도가 예상된다.
시는 수소전기차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수소전기차 안전인증센터 구축 사업 예산 30억원을 신규로 반영해 내년부터 사업을 추진한다.
전기수소차 핵심 부품 및 차량 안전성 확보 지원 사업 예산은 기존 10억원에 15억원을 증액 확보했다. 시는 내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해 부품업계의 미래차 전환 지원을 강화하고, 미래차의 핵심 부품에 대한 안전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2년간 공들인 영남권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설립 예산도 확보했다. 이 예산은 원래 정부안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시가 주도해 사업비를 반영했다. 아직 사업 대상 지자체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국비 신규 반영에 기여한 공을 감안하면 설립에 대한 주도권을 가져온 셈이다.
반면 수출형 조선해양 소형원전(SMR) 기술 개발 사업은 예산 확보에 실패했다. 4년간 진행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들어가야 하지만 예산 미반영으로 자칫 4년간 연구한 성과가 매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김두겸 시장은 이를 두고 “SMR은 울산의 나아갈 방향인데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아쉽다”고 밝혔다.
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비와 울산 스타트업 혁신타운 조성 사업비는 증액에 실패해 기존에 확보한 예산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