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부의장은 “보건교육지원센터 설치를 위한 제도적 장치는 이미 마련돼 있다”며 “보건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해 보건교사를 중심으로 보건교육을 재편성하고,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부합하는 보건교육 연구 및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보건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지원하고 학교현장에서 체험 중심의 보건교육을 추진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구심점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 부의장은 설명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