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남구 야음동 공동주택 건립 현장. 지난해 10월 공동주택 사업 승인이 난 이 곳은 곳곳의 건물들이 철거를 앞두고 거푸집 철판 펜스로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철판 펜스가 보행로를 점령해 인도는 1m도 채 되지 않게 대폭 줄어든 상태다. 곳곳 가로수가 설치된 구간은 사람 한 명 통행도 불가할 정도로 좁아져있어 이날 하교하던 학생들은 차도로 내려와 걸었다.
황모(25)씨는 “버스정류장에서 내려서 수영장으로 걸어가는데 철판이 인도 중간까지 설치돼있어 당황스러웠다”며 “근처에 대단지 아파트나 초등학교도 2곳이나 있는데 인도 통행이 안돼 다들 차도로 걷고 있어 안전이 우려됐다”고 토로했다.
중구 복산동 공동주택 건립 공사 현장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오는 9월께 준공을 앞두고 공사 막바지에 들어간 가운데 역시 대부분 보행로는 실종된 상태다.
특히 북부순환도로와 합쳐지는 합류구간 도로에는 방벽 바리케이드나 라바콘이 차도 곳곳에 설치되고 트럭들도 주정차해 있다. 시민들은 주정차 차량 등을 피해 위태하게 걸어다니는 모습이고 해당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들도 중앙선을 넘나들며 운전을 이어나갔다.
곽모(40)씨는 “제대로 된 차선 구분도 없이 대형 트럭부터 라바콘이 벌써 몇 달째 아무렇게나 도로를 차지하고 있다”며 “보행로와 차도 확보도 없이 공사가 진행되면서 시민들 불편만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관련 민원도 관할 지자체로 수시로 접수되고 있다.
해당 지자체가 방벽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며 임시 보행로·차도 확보에 나서고 있으나, 공사 과정에서 자재를 쌓아두거나 트럭들이 수시로 오가면서 위험요인은 여전한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수시 감독을 통한 임시 보행로, 차도 훼손 방지 등 철저한 관리와 단속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지자체 관계자는 “공사 과정에서 대형 차량들과 자재들이 수시로 오가면서 불가피하게 차선·보행로가 훼손되고 있다”며 “매일 공사현장을 감독할 수 없어 신고가 접수되면 임시 보행로·차도 확보를 시행사에 지시하고, 시민 불편이 없도록 수시로 감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