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기자]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초읽기…韓정부 대처 주목
상태바
[청소년 기자]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초읽기…韓정부 대처 주목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3.07.1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태희 청소년기자(신정중2)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에 대해 방류 계획을 발표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우리 정부의 대처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1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현재 진행형이다. 지진해일로 전력이 끊어지면서 원자로 냉각 체계가 무너지고, 결국 노심용융으로 이어졌다. 사고 수습을 위해 녹아내린 원자로 속 핵연료 냉각에 막대한 양의 냉각수를 쏟아붓게 되면서, 현재 140만t이 넘는 오염수가 원전 주변 탱크에 보관 중이다.

이렇게 발생한 오염수는 세슘, 삼중수소 등 유해한 방사성 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 물질이 철저한 관리 없이 바다에 방류되면 바닷속 생물들에게 축적돼 우리 밥상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있다.

갈수록 오염수가 늘어나는 데다 지상에서의 관리가 어려워지면서 일본 정부는 수년 전부터 바다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절차를 진행해 왔다.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이용해 최대 62종의 방사성물질을 제거해 방류하겠다는 계획인데 처리 과정에서의 지속적인 관리와 감시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국내에서 실시한 한 여론조사에서는 85%에 달하는 응답자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일부 소비자들이 소금을 사재기하는 등 동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가 어떠한 판단을 하고 어떻게 대처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태희 청소년기자(신정중2)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