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울주군 남부권 신도시 조성 및 온양·온산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철도선로 ‘온산선’ 폐지(閉止) 문제가 지역사회 현안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해관계자가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여 간담회를 가졌으나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했다.
울산시는 20일 울주군청 이화홀에서 ‘온산선’ 철도노선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온양읍 등 온산선 관련 주민, 기업체, 국방부,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국회의원, 시·군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온산선’ 관련 주민과 이해관계인, 유관기관에서 한 자리에 모두 모인 것은 처음이다.
주민들은 이 자리에서 온산선으로 인한 지역발전 저해 등 문제점을 지적하고 폐지를 거듭 주장했다.
박순동 온양읍 주민자치위원장은 “‘온산선’이 생기면서 44년간 도로와 주거지가 단절됐고, 위험물을 실은 열차가 도심을 관통해 다니면서 주민들은 하루하루 걱정 속에 살고 있다”면서 “특히 신도시에 개설된 ‘발리동상로’가 ‘온산선’ 때문에 확장을 하지 못하고 있는 등 지역주민들의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희태 온양읍 체육회장도 “기업체 두 곳에서 항공유와 황산 수송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데 대체 선로 개설이나 타 지역 항구 이용 등 폐지하더라도 충분히 방안이 있다”며 “국토교통부에서 추진중인 제5차 국가철도망(2026~2035) 계획에 온산선 폐지가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깅조했다.
반면 온산선을 이용하는 철도수송 이해당사자들은 원론적 입장만 피력했다.
한상용 국방부 물자관리관 사무관은 “전쟁 등 유사시에 대비해 송유관과 화차(철도), 탱크로리 3가지의 수송 방안이 필요하다”며 “특히 이 중에서도 화차가 5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온산선이 폐지되면 공군 비행단을 운용 못하게 된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김주희 (주)영풍 물류자재팀장은 “만일 온산선이 폐지돼 철도 수송이 중단되면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며 “포항 등 타 지역 항구를 이용해 운송하는 방안도 어렵다”고 했고, 김광남 S-OIL 국내판매부문장도 “지역주민들의 의견은 존중하나 곤혹스러운 입장이다”고 했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철도 이설이나 폐지 시 모두 원인자 부담이며, 대체 선로 등 신설 시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부터 용역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범수 국회의원은 “오늘 간담회는 주민, 기업체, 기관 등 입장을 처음 들어보는 자리로 서로간의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다”며 “무조건 안된다는 생각은 버리고 모든 이해관계인들이 힘을 모아 앞으로 차근차근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온산선’은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기업체들의 화물 운송을 위해 지난 1979년 준공된 남창역에서 온산역까지 8.6㎞ 길이의 철도 노선이다. 현재 비철금속업체인 (주)영풍과 정유업체인 S-OIL 두 업체에서 사용 중이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