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주거취약계층 4년만에 다시 증가세
상태바
울산 주거취약계층 4년만에 다시 증가세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3.07.3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해진 곳 없이 여관 등을 전전하거나 판잣집·비닐하우스 등에서 거주하는 주거 취약계층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3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내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원은 3만1996명으로 전년(3만1100명)보다 896명(2.9%) 늘었다.

통계청은 가구의 거처를 ‘주택’과 ‘주택 이외의 거처’로 분류하고 있다. ‘주택 이외의 거처’는 한 개 이상의 방과 부엌, 독립된 출입구 등 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주 공간을 뜻한다.

연간 울산지역의 ‘주택 이외 거처’ 가구원 수(오피스텔 제외)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구원수(명) 3만1982명 3만5187명 3만6719명 3만8229명 3만6852명 3만1460명 3만1100명 3만1996명
 증감률 - 10.0% 4.4% 4.1% -3.6% -14.6% -1.1% 2.9%

구체적으로 오피스텔, 여관 등 숙박업소의 객실, 기숙사 및 특수사회시설,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오피스텔 거주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주거 취약 계층에 속한다.

울산에서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원은 2018년(3만8229명)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3만6852명, 2020년 3만1460명, 2021년 3만1100명 등으로 3년 연속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지난해 집값 하락세에도 빈곤층의 주거 환경이 더 악화한 셈이다.

지난해 전국에서도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의 거처’ 가구원이 182만9000명으로 전년(178만8000명)보다 4만1000명(2.3%) 늘었다. 전국 역시 2018년(199만5000명)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부담 증가와 대규모 전세 사기 사태 등이 영세자영업자나 서민들을 ‘주택’ 밖으로 내몰았을 수 있다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른바 보증금을 떼먹은 악성 임대인을 뜻하는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의 보증사고 액수는 4382억원에 달했다. 보증사고 액수는 2018년 30억원에 불과했지만 2019년 504억원, 2020년 1871억원, 2021년 3555억원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고금리를 못 이긴 영세 자영업자, 보증금을 날린 전세 사기 피해자 등이 주택 밖으로 밀려났을 것”이라며 “정부 정책은 ‘집값 안정’보다 ‘주거 안정’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