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미래 반도체 제조공정 핵심기술 개발
상태바
UNIST, 미래 반도체 제조공정 핵심기술 개발
  • 이춘봉
  • 승인 2023.08.0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막 증착 공정법 개발에 성공한 서준기(오른쪽 첫 번째) UNIST 교수와 김창환(오른쪽 세 번째) 연구원, 정후영(왼쪽) 교수.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원자층 수준에서 정밀하게 쌓는 미래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핵심 기술이 개발됐다.

UNIST는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및 신소재공학과 서준기 교수팀이 홍익대학교 송봉근 교수, UNIST 정후영 교수 연구팀과 함께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50℃의 저온에서 텔레륨(Tellurium)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박막 증착 공정법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원자층 증착법은 낮은 공정 온도에서 삼차원 구조의 표면에 얇고 균일한 막 코팅과 정교한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차세대 박막 공정법이다. 하지만 차세대 반도체인 원자층 반도체에 적용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250℃ 이상의 공정 온도와 450℃ 이상의 추가 열처리 작업이 요구됐다.

연구팀은 전자소자와 열전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중인 단일 원소 원자층 반도체 ‘텔레륨’에 원자층 증착법을 적용했다. 열처리 공정 없이도 50℃의 저온에서 고품질의 박막을 성공적으로 제조했다.

개발된 제조공정을 통해 텔레륨 박막을 100㎜ 웨이퍼 전체에 적용했다. 박막은 원자층 수준의 두께 조절과 균일한 증착이 가능했다. 소자의 고집적화를 위해 요구되는 수직형 삼차원 구조체에도 증착 가능함을 확인했다. 이는 트랜지스터, 정류기, 선택소자 등의 다양한 전자 소자에 활용될 수 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퇴직했는데…2019년 월급이 또 들어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