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두달째 흑자…경기회복 신호탄 낙관은 일러
상태바
무역수지 두달째 흑자…경기회복 신호탄 낙관은 일러
  • 이형중
  • 승인 2023.08.0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일 수출입화물을 가득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에 입항하고 있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16억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7월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6월에 이어 두 달째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째 이어진 무역적자의 터널을 벗어났지만, 완연한 경기 회복의 신호탄이라고 보기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7월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5% 감소해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 중이다. 다만, 하반기에는 반도체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4분기(10~12월)께엔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7월 수입은 원유, 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이 대폭 감소하면서 지난해 동월보다 25.4% 줄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수입 감소율은 3월 -6.5%, 4월 -13.3%, 5월 -14.0%, 6월 -11.7% 등에 이어 7월 -25.4%로 올해 들어 최고치를 찍었다.

7월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액은 지난해 동월(184억달러) 대비 47% 감소한 97억5000만달러였다.

배럴당 두바이유 가격은 80.45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0% 떨어졌다. 에너지를 제외한 수입액은 반도체, 철강 제품, 반도체 장비 등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16.6% 감소한 390억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이차전지 생산에 필수 원료인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 수입액은 각각 4억9540만달러(46.8%↑), 1억8000만달러(52.7%↑) 증가했다. 이처럼 에너지 수입액이 쪼그라들면서 무역수지는 두 달 연속 플러스로 돌아선 반사효과를 누렸다.

7월 무역수지는 16억3000만달러 흑자를 내 6월(11억3000만달러 흑자) 이후 두 달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로 인해 올해 1월 126억달러의 사상 최고치 적자를 낸 이후 무역수지 흐름은 개선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7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을 보면 자동차·일반기계·가전 등 3개 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은 일제히 감소했다. 특히 전통적 수출 효자 품목이자 한국 수출의 근간인 반도체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이형중기자·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