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삼성 계열사 중 1곳은 이에 합류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경련 재가입을 고민하는 4대 그룹들 역시 정경유착 우려에 따른 비난 여론을 의식한 듯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의 회원 자격 승계에 대한 논의일 뿐 진정한 의미의 ‘전경련 복귀’와는 다르다며 선을 긋는 분위기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8일 임시 이사회를 열어 사외이사들에게 한경연 해산에 따른 회원 자격 승계 안건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의 권고안에 대해 보고했다.
앞서 삼성 준감위는 두차례 임시회의 끝에 “삼성의 준법 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일 관계사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가입을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으면 즉시 탈퇴할 것 등 필요한 권고를 했다”고 밝혔다.
2017년 2월 전경련 탈퇴 이후 한경연 회원으로 남아있던 삼성 5개 계열사 가운데 1곳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권고와 이사회의 반대에 따라 심사숙고 끝에 한경협에 합류하지 않기로 했다. 4대 그룹 기업 중 한경협에 합류하지 않기로 결정한 곳은 이번이 처음이다. 재계 안팎에서 삼성 등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 명분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다, 준감위에서도 전경련의 혁신 의지에 우려를 표함에 따라 내린 결정으로 풀이된다.
삼성 계열사 1곳이 한경협 불참 결정을 내림에 따라 다른 그룹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SK그룹과 현대차그룹, LG그룹은 현재 전경련 재가입 논의를 진행 중이다. 한경협에 합류하더라도 명시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고 종전의 한경연 회원 자격이 한경협으로 자동 승계되는 것이지 회비 납부와 회장단 참여 등 실질적인 복귀와는 다르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석현주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