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 올해 수주목표 이달 돌파 전망
상태바
HD한국조선해양 올해 수주목표 이달 돌파 전망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3.09.0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조선업계가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지역 조선업계의 수주 목표 달성 속도가 예년보다 느려지고 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감소한 발주량과 독(건조공간) 부족에 따른 선별 수주 여파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하반기 본격화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로 인해 올해 목표는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현재까지 총 118척(해양설비 1기 포함), 154억7000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57억4000만달러의 98.2%를 달성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달 올해 수주 목표 돌파가 유력하지만, 지난해와 비교해선 달성 시기가 2달가량 늦춰졌다. 지난해에는 7월 초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3척에 대한 건조 계약 체결로 총 140척, 175억2000만달러어치를 수주해 연간 목표인 174억4000만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6개월 만에 1년치 목표를 채웠던 셈이다.

특히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 가운데 한국삼호중공업이 58억3000만달러(약 7조8000억원)어치를 수주하며, 작년 말에 이 회사가 세운 올해 수주 목표액(26억달러)의 224%가 넘는 실적을 냈다.

반면 울산에 본사를 둔 HD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올해 수주 실적은 목표액의 67%, 90%에 그쳤다.

다른 빅3인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의 수주 목표 달성률은 이보다 낮은 수준이다. 삼성중공업은 현재 연간 목표 95억달러의 66%인 63억달러를 수주했다. 한화오션은 올해 인수합병을 예견해 작년보다 22% 줄어든 69억8000만달러를 수주 목표로 설정했지만, 현재까지 14억7000만달러(21%)를 채우는 데 그쳤다.

이처럼 지역 조선업계의 수주 달성 속도가 미진한 데에는 지난해보다 감소한 발주량과 선별 수주가 이유로 지목된다.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 세계 누적 발주는 2312만CGT(표준선 환산톤수·858척)로, 작년 동기 대비 25% 줄었다. 또 2027년까지 4년 치 수주물량을 확보한 빅3도 최근 선별 수주에 나서 전체 수주량만 보면 경쟁국인 중국에 크게 뒤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이어질 LNG 운반선 발주가 빅3의 목표 달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LNG 운반선은 한국이 전 세계 발주량의 87%를 차지하는 ‘효자’ 선종이다.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앞바다에서 대규모 천연가스전이 발견된 카타르가 올해 하반기 약 40척의 LNG 운반선 발주를 위해 국내 빅3 등과 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인 카타르페트롤리엄(QP)은 2020년 6월 빅3와 100척이 넘는 LNG 운반선 건조 슬롯 계약(독을 미리 선점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지난해 말부터 발주를 이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모잠비크도 LNG 운반선 17척을 올해 말까지 발주할 예정이다.

울산지역 내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올해 친환경 선박 발주가 증가하면서 수주 목표 달성에 근접해가고 있다. 환경 규제 강화로 향후 친환경 선박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 LNG 운반선 대량 발주가 예정돼 있어 올해 목표 수주액은 무난하게 채울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