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에 비해 중견·중소기업들의 대응이 원만치 못한 만큼 협력사들은 원청이 제시한 규범에 나온 공동 지표에 따라 선제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의 주관 아래 자동차 업종 공급망 ESG 대응력 향상 위한 제6회 ESG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올해부터 독일이 ‘공급망 실사법’을 시행하면서 세계적으로 ESG 부문 공급망 관리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은 협력사가 실사법을 위반하면 최대 800만유로의 벌금을 물도록 했다.
EU도 공급망 실사 지침을 채택했다. 대기업뿐 아니라 원료·부품 관련 협력사도 ESG 경영 실사 대상에 포함시켰다. EU에 수출하는 국내 기업도 해당된다.
국내 역시 ESG 공급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신규·변경 발의된 법안이 총 4287건에 달하는 등 ESG 관련 법제화가 빠르게 진행돼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이 요구된다.
문제는 대기업은 ESG 경영 여력이 충분하지만 중소기업은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이다. 이에 규모가 큰 원청을 중심으로 동반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르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공급망 ESG를 추진하면서 협력사 행동 규범 제시, 핵심 협력사 별도 관리 등에 나섰다. 상생 협력 5스타 평가제도를 운영하고 ESG 평가 지표 기반 실사도 실시한다. 1차 및 2차 협력사 400곳을 대상으로 ESG 서면 진단도 진행 중이다. 리스크 개선을 위해 고위험 협력사 10곳을 현장 실사하고 개선 방안 컨설팅 등 하청 지원 체계도 구축했다.
이날 윤중식 대신경제연구소 본부장은 국내외 자동차 메이커의 협력사 행동 규범을 눈여겨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대차·기아, GM, BMW 등은 수자원·폐기물 관리 등 18개 항목에 걸쳐 적게는 10개에서 많게는 16개까지 지표를 수립하고 있는 만큼, 협력사들은 각 지표를 비교 분석해 공통 지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윤중식 본부장은 “지속적인 ESG 추진을 위해서는 현재의 ESG 수준을 진단하고 전담 조직을 통한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기업 가치사슬과 ESG는 별개가 아닌 수익을 창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인 만큼 ESG 요소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