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승인함에 따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원 110명을 포함한 전국 의대 증원이 확정됐다. 이와 함께 지역인재 의무선발 비율이 60%까지 높아져 수험생과 부모들을 중심으로 지방 유학이 주목받고 있다.
대교협은 지난 24일 제2차 대입전형위원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따라 전국 39개 의대 모집인원을 포함,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승인했다.
울산대는 기존 정원 40명에서 110명으로 70명 증원됐다. 전국 40개 의대는 2025학년도에 기존보다 1509명 늘어난 4567명을 선발한다.
기존 40%이던 지역인재 의무선발 비율이 60%로 20% 늘었다. 울산을 포함해 부산, 경남권 등 지역 인재를 다수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즉, 인근에서 자라 지역에서 수련을 받고 의료 인재가 육성되는 등 나아가 울산에서 개원까지 기대할 수 있게 돼 지역 의료 인프라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견’이라고 못박은 김두겸 울산시장의 울산대학교병원 도심 이전도 이같은 맥락에서 궤를 같이한다.
이처럼 비수도권에서 의대 가기가 더 쉬워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험생들과 수험생들 부모 사이에서 ‘지방유학’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고 있다. 과거엔 의대 진학을 생각지 못했던 수험생들도 지역인재전형 확대로 이제 의대에 도전해볼 법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지역 한 입시학원 강사는 “최근 들어 의대 진학과 관련한 문의가 많이 들어오는 편”이라면서 “5~6명 정원이던 의대 목표 입시반을 늘리거나 정원을 늘리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의대증원 확정시 ‘1주일 휴진’을 검토하던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사실상 휴진 계획을 철회했다.
최창민 비대위원장은 지난 24일 울산대 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주일 휴진한다고 해도 정부가 꿈쩍 안 할 게 뻔하다. 환자들이 피해를 볼 게 명확한 상황에서 우리가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이 든다”면서도 “갑자기 모든 전공의를 면허정지를 시키거나 그러면 상황이 달라질 것”고 휴진 여지는 남겨뒀다.
의료계는 여전히 증원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의대 교수들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고등법원의 항고심 3개와 대법원의 재항고심의 의대증원 집행정지 결정이 아직 남아있다”며 “이 결정들 이후에 2025년도 모집요강이 확정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