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K-조선 ‘초격차 기술’에 2040년까지 2조 투입
상태바
산업통상자원부, K-조선 ‘초격차 기술’에 2040년까지 2조 투입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4.07.0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2일 부산 강서구 파나시아에서 열린 제2차 K-조선 Tech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40년까지 2조원을 투입해 ‘K-조선 초격차 기술’ 100개 확보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2일 강경성 1차관과 관계자 등이 참석한 부산 소재 친환경 선박 기자재 업체 파나시아에서 ‘2차 K-조선 기술 얼라이언스’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부는 조선산업 중장기 기술개발 청사진을 담은 ‘K-조선 초격차 비전 2040’를 발표했다.

산업부는 국내 조선산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을 갖췄지만, 선박 엔진·화물창 등 핵심기술 부족과 높은 기자재 해외 의존도가 약점으로 꼽혀온 만큼 조선산업 재도약을 위해 이번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했다.

우선 ‘2040년 세계 최고 조선 기술 강국’을 목표로 노동 기반에서 자동화 기반으로 선박 건조시스템을 혁신하는데 힘을 모은다. 이를 위해 친환경·디지털·스마트 3대 분야에서 암모니아 추진선, 액화수소 운반선, 선박용 탄소포집시스템, 자율운항선박 플랫폼, 무인 자율 제조 공정 등 10대 프로젝트를 집중 육성한다.

탄소 배출 제로를 위한 친환경 분야에서는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추진 기술과 친환경 혁신 기자재, 수소·암모니아 등 미래 연료 생산플랜트 기술을 개발한다. 액화수소 운반선 화물창, 대형 전기추진선박 등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해상 실증 등을 통해 상용화도 추진한다.

디지털 분야는 설계-생산-야드 운영 등 전 공정의 자동화 기술을 확보한다. 고위험·고난도 작업을 대체할 용접·도장 자동화 기술과 협동 로봇 기술 개발을 우선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 24시간 가동 가능한 자동화 선박 블록 공장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시험 공장도 구축한다.

완전 자율운항 선박 상용화를 목표로 무인 항해에 필요한 센서·기자재·통합 운영 시스템 등 기술을 개발하고, 승조원의 업무를 보조할 로봇 기술과 비상상황 대비 안전 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또한 이날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 3사는 생산공정 효율화 위한 ‘현장 대응형 기술개발 공동대응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조선 3사는 용접 협동로봇, 가상현실(VR) 활용 근로자 용접·도장 교육시스템, 외국인 근로자 현장 지원 인공지능(AI) 챗봇, 협력사 생산협업 플랫폼 개발을 우선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민관이 함께 비전 2040의 초격차 기술을 확보해 간다면 2040년 조선산업 세계 1위를 굳건히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우리 수출이 9개월 연속 플러스와 올해 상반기 기준 역대 2위 수출액을 기록한 만큼 좋은 흐름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도 기업들의 투자 애로 해소, 선제적 규제 완화 등에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