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 기증유물 들여다보기]조선 후기 봉수대 상황 보여줘
상태바
[울산박물관 기증유물 들여다보기]조선 후기 봉수대 상황 보여줘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10.2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주전봉수대 관련 고문서 전령문.
▲ 남목봉수 별장 임명 차정첩.
1858~1896년까지 울산광역시 기념물 남목(주전)봉수대의 운영 실상을 알려주는 고문서이다. 자료는 모두 13점으로 주전봉수대 관련 고문서(朱田烽燧臺 關聯 古文書)라는 명칭으로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한지에 필사한 문서로서 박호수씨에 의해 잘 보관되고 있다가 울산박물관 개관과 함께 박물관에 기증됐다.

문서는 울산부사(蔚山府使)가 박춘복, 박명대 부자에게 주전봉수대 별장(別將)으로 임명한다는 차정첩(差定帖), 별장과 인근 동수(洞首)에게 근무를 철저히 하고 군포를 잘 징수하라는 전령문, 그리고 미포·정자 등 봉수대 인근 마을로부터 군량용으로 거둔 금전의 내역을 기록한 문서와 울산부에서 남목(주전)봉수대에 내려준 조총 등 무기와 종이로 만든 투구, 종이갑옷 등 개인 방호무구, 불을 피우는 재료, 불을 끄는데 쓰인 재료, 신호 수단으로 깃발, 작은 북, 솥 등 장비의 목록, 별장이 이를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보고한 문서들이 있다.

이 고문서를 통해 남목(주전)봉수대는 수령의 관할 아래에 있었고, 봉수군(烽燧軍)은 봉수를 담당하면서 유사시에는 적군을 맞아 싸우는 군사 역할도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수군 역(役)은 봉수대 인근 주민들이 담당했고, 군량 등 운영 경비도 이들이 공동으로 부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고문서는 조선 후기 봉수대의 운영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전봉수대는 남목봉화, 남목천봉수, 남옥봉수, 남목봉수 등 여러 이름이 있었으며, 현재는 행정구역에 의한 주전봉수대로 주로 불리고 있으나, 고문서명에 따라 남목봉수와 남목봉수 관련 고문서로 불러야 할 것이다.

봉수는 변방과 국경의 정세를 횃불과 연기로서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를 중앙에 알리는 군사 통신 제도이며, 봉수대는 봉화를 올릴 수 있게 높은 산봉우리에 설비해 놓은 군사 시설이다. 조선시대 봉수제는 노선상으로 기간 봉수인 직봉과 보조 봉수인 간봉으로 구별하기도 하고, 봉수대의 설치 지역과 기능에 따라 경봉수, 내지봉수, 연변봉수, 권설봉수로 구분된다.

밤에는 횃불로, 낮에서는 연기를 올려 위급한 상황을 서로 교신했다. 울산은 우리나라 동남단 바다에 접하고 있어 선사시대 이래로 늘 왜구가 출몰하는 군사 요충지였다. 지금의 울산 행정구역상으로 봉수는 8곳이 남아 있는데, 봉수의 수도 그 사실을 잘 말해 주고 있다.

주전봉수대는 주전동 봉대산 정상 해발 192m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시 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주전봉수대는 복원 정비되어 있어 원래의 모습은 아니지만 주변이 잘 보존되고 있다.

김대성 울산박물관 전시기획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