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유홍준 ‘창틀 밑 하얀 운동화’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유홍준 ‘창틀 밑 하얀 운동화’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2.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각이 많을 때마다 나는
운동화를 빠네

낙엽을 밟고 오물을 밟고 바닥 밑의 바닥을 밟고 다닌 기억이여

깨끗이 빨아놓은 운동화 뒤꿈치에는 물이 고이네
생각의 뒤꿈치에는
늘 물이 고이네

나는 지금 맨발, 슬리퍼를 걸치고 마당가에 앉아
창틀 밑 하얀 운동화나 바라보네

운동화는 고요하고 단정하고
많은 말들을 감추고 있네

신발을 씻었는데
손이 왜
깨끗해졌는지,

할 말이 없는데
할 말이 무엇인지
다 잃어버렸는데

내 생각의 뒤꿈치에는 자꾸만 물이 고이네

내 하얀 운동화는 생각을 버리고 다시 또 길을 나서야 하네



고단한 삶 살아가기 위한 생각 정리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어린 시절 언니는 화나거나 일이 안 풀릴 때 빨래를 들고 냇가에 가서 빨았다. 치대고 두드리고 헹구다 보면 마음속 응어리가 풀리는지 돌아올 땐 콧노래도 부르곤 했다.

운동화를 빠는 일도 비슷한 게 아닐까. 물은 더러운 걸 깨끗이 정화한다.

운동화를 빤다는 건 ‘바닥을 밟고 다닌 기억’, 그러니까 힘들고 더러운 걸 정화하고 생각을 정리할 시간을 갖는 행위이다. 하얗게 빤 운동화를 창틀에 널어놓으면 마음도 깨끗해지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운동화의 뒤꿈치엔 물이 고인다. 물이 고인다는 것은 쉬이 떨칠 수 없는, 지워지지 않는 기억이나 흔적일 것이다. 할 말이 무엇인지 잊었는데도 자꾸 고이는 물, 말하고 싶지만 정작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모르는 어떤 감정들.

그래도 우리는 그 신발을 신고 또 길을 떠나야 한다. 한 번씩 묵은 감정을 털어내지만 그럼에도 떨쳐지지 않는 기억과 손잡고 삶의 길을 한발, 또 한발.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