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이창수 ‘삼월에 내리는 눈’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이창수 ‘삼월에 내리는 눈’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3.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월에 눈이 내리네
삼월에 내리는 눈은
땅에 닿기도 전에 녹아버려
발자국 하나 남길 수 없네

그 무엇 하나 새길 수 없는 마음으로
삼월에 내리는 눈을 보네
우우우우 유리창엔
바람의 한숨만 쌓이고

유리창에 흘러내리는 긴 눈물 지우며
어둔 창의 뒤편에 골몰하다 보면
가닿을 수 없는 자리마다
오래된 사람의 발자국이 보이네

삼층 석탑을 쌓던 구름이 무너져
삼월 하늘에 눈이 내리네



간절했던 사랑이 잊혀져 간다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한겨울에도 눈이 드문 도시에서 삼월에 눈이 내렸다. 겨울의 끝자락을 여태 놓지 못하고 있어서인지, 삼월의 눈은 물기가 많고 축축하다. 가버리는 것에 대해 미련이 많지만, 아스팔트에 닿기도 전에 녹아내리거나 이내 눈비가 섞인 진눈깨비로 변하는 삼월의 눈.

시에서도 눈이 땅에 닿기 전에 녹아버려 ‘발자국’을 남길 수 없다 하였다. 발자국을 가슴에 새겨진 기억이나 흔적으로 본다면 시의 화자는 이미 잊힌 존재다. 반면 ‘오래된 사람의 발자국’은 여전히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다. ‘가 닿을 수 없는 자리’, 아마 심장 안쪽 저 깊은 곳에. 그 간극이 ‘한숨’으로 쌓인다.

화자는 눈의 전신이 삼층 석탑을 쌓던 구름이라고 보았다. 석탑을 쌓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정성과 노력을 기울였을까. 얼마나 간절한 비원을 담았을까. 그것이 무너져서 내리는 것이 삼월의 눈이라니, 삼월의 눈에 섞인 물기는 더 많이, 더 오래 사랑했던 사람의 우우우우, 울음인 셈이다.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