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유강희 ‘춘분’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유강희 ‘춘분’
  • 경상일보
  • 승인 2025.03.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악산 오를 때는
독배 쪽 골짜기에서
꿩 한 마리가 울었다

모악산 내려올 때는
또 금산사 쪽 골짜기에서
한 마리 까마귀가 지성껏 울었다

이 찡한 봄날,
혼자 무엇을 하자니
무엇을 해도 서운타
그래서 서로의 울음을 벗겨주기로 한 것

꿩 한 마리가 밀어올린 길과
까마귀 한 마리가 내려 보낸 길이
꼭 중간쯤에서 사이좋게 만나
진달래 꽃봉오리 쌀튀밥처럼 뽈갛게 부풀리고 있다.



고독한 존재끼리 교감할 때 꽃이 피어난다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춘분. 태양 빛이 적도에 직각으로 떨어져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 이제 봄이 몸을 풀면서 다가와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시작되는 때이다. 며칠 전 등산길에 능선을 지나며 아래를 보니 해토머리 지난 땅에 농부들이 엎드려 있었다. 희끗희끗한 농부의 등판이 근처의 희끗희끗한 매화 가지를 닮아 그대로 한 덩이 꽃숭어리다.

이런 봄을 시인은 새 소리에서 느낀다. 모악산은 ‘어머니 산’이란 뜻을 지닌 호남평야에 우뚝 솟은 큰 산인데, 이 산을 오르고 내리며 꿩과 까마귀 소리를 듣는다. 하지만 새들은 각자 제 혼자이니 고독하고 외롭다. 혼자는 무엇을 해도 신명이 나지 않는다. 그래서 꿩 꿩, 까악 까악 목소리를 돋우어 짝을 부른다.

이들의 울음은 모악산 골짜기를 오르고 내리며 어우러져 ‘서로의 울음을 벗겨’주게 된다. 울음을 벗겨준다는 것은, 어울리면서 각자의 고독과 슬픔을 씻어주게 되었다는 뜻. 둘의 울음은 중간에서 사이좋게 만나 진달래 꽃봉오리를 부풀린다. 사람 사이도 그러하리라. 고독한 존재끼리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교감할 때 그 사이에서 ‘꽃’이 피어난다.

사람과 사람, 자연과 사람, 자연과 자연, 모두 ‘사이좋게 만나’ ‘뽈갛게’ 봉우리를 밀어 올리는 봄이다.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