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경희 ‘나의 바다’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경희 ‘나의 바다’
  • 경상일보
  • 승인 2025.03.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을 담그려고 살아있는 꽃게를 사왔다
필사적으로 몸부림치는 것을 가만히 바라보았다.

무섭게 파닥거렸다
바다가 그리 먼 곳이다

아무리 파닥거려도 갈 수 없는 곳
필사적으로도 갈 수 없는 곳

나는 절실하지 않았기에
아직도 여기에 있다

 

절실하지만 갈 수 없으니 더 간절하다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바다에도 봄이 왔겠다. 어둡게 출렁거리던 잿빛 옷을 벗고 봄바다는 이제 초록의, 파랑의, 코발트의 미묘한 색으로 마음껏 반짝일 것이다. 봄볕에 데워진 모래를 맨발로 걸을 수도 있겠다.

가벼워진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온 물새들이 종종종 모래 위에 발자국을 남기면 그 뒤를 총총총 따라가 볼까.

살아있는 꽃게는 필사적으로 버르적거린다. 이런 바다에 가고 싶어서. 삶의 터로 돌아가고 싶어서. 하지만 뭍으로 끌어 올려져 도마 위에 놓인 꽃게는 이미 죽음에 포박당해 있다. 지금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필사적이지만, 결국 삶 쪽으로 다가갈 수는 없다.

반대로 시인은 절실하지 않아서 ‘여기’ 있다고 했다. 그런데 꽃게에 투영된 시인의 모습을 보면 절실하지만 갈 수 없다는 뜻으로 읽힌다. 마지막 연이 역설적 의미임을 ‘나의 바다’라는 시의 제목이 알려준다.

아마 누군가 이미 ‘저기’에 가 있을지 모른다. 간절해도 갈 수 없는 곳. 먼 바다 같은 곳. 똑같이 바다를 바라보지만, 꽃게는 죽음에서 삶 쪽을, 시인은 삶에서 죽음 쪽을, 그 막막한 경계를 보고 있다. 여기에 남아 살아가야 하는 자의 그리움과 슬픔.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