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강병철(사진) 교수 및 서울아산병원·강원대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은 코로나 전후로 국내 3개 병원의 이비인후과 질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팬데믹 기간 삼출성 중이염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환자 수는 코로나 이전(2019년) 대비 평균 40%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삼출성 중이염은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에 삼출액이라는 물이 차는 질환이다. 주로 코, 인두, 후두 등 상기도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으로 상기도 감염이 줄어들면서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또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병철 교수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울산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강원대병원의 환자 데이터를 이용해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 돌발성 난청, 안면신경 마비 등 이비인후과 질환의 연간 발생률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삼출성 중이염으로 환기관 삽입술을 받은 환자는 2019년 893명이었지만 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는 562명을 기록해 환자 수가 37%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83명, 545명으로 2019년 대비 45.9%, 38.9% 감소했는데, 코로나 발생 후 3년간 환자 수가 평균 40% 줄어든 것이다.
팬데믹이 종료된 2023년 환기관 삽입술을 받은 환자 수는 779명으로 전년 대비 42.9%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