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안상학 ‘먼 곳’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안상학 ‘먼 곳’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4.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몸의 가장 먼 곳이 아픈 것은
내 마음의 가장 먼 곳이 아픈 까닭이다

내 마음의 가장 먼 곳에 가서 하루 종일 간병했더니
내 몸의 가장 먼 곳이 나았다

그 마음의 먼 곳에서 몸과 함께 살아가는 동안
바람이 불고 비가 내려
또 다시 마음의 먼 곳이 생겨났다
나는 또 머지않아
몸의 가장 먼 곳이 아파올 것을 예감한다

좀처럼 가닿을 수 없는 먼 곳이 있어서 나는 오늘도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는 마음을 살아간다
내 몸의 가장 먼 곳에도 곧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릴 거라는
마음의 일기예보를 예의 주시하는 오늘 밤도 깊어 간다



마음을 돌봐야 몸도 치유된다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로마 철학자 유베 날리스의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처럼 몸과 마음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몸의 병은 많은 경우 마음의 병에서 비롯된다. 암의 최대 원인은 스트레스라고 한다. 억울한 마음을 풀지 못해 생기는 화병도 있다.

그러므로 몸이 아프면 마음을 먼저 살펴야 한다. ‘내 마음의 가장 먼 곳’이 아프다는 것은 억눌린 감정이나 무의식적 고통, 깊은 내면의 문제들을 말한다. 이런 마음을 돌보고 다스리면 몸의 아픔도 줄어든다. 몸과 마음은 이렇게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몸이 마음을 돌보고 마음이 몸을 치유한다. 하지만 살아가는 일은 끝없이 상처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상처뿐인 삶이 없듯이, 상처 없는 삶도 없다. 마음은 몸과 함께 살아가면서 새로운 상처에 아파하고, 몸은 상처를 돌보면서 마음의 그늘과 어둠도 함께 씻어낸다. 하여 우리는 몸과 마음에 함께 민감해야 한다. 마음의 변화를 살피며 ‘바람 불고 비 내리는 마음을 살아가듯’ 고통을 회피하지 않고 서로 다독이면서 살아가야 한다.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