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며, 6월4일부터 이재명 정부가 공식 출범한다. 윤석열 정부의 조기 퇴진으로 정권이 교체된 지금, 국가 정책의 방향은 물론 지역 발전 전략도 전면적인 재편이 단행되고 있다. 산업수도 울산 역시 이재명 대통령이 내건 7대 지역 공약을 통해 다시 한 번 도약의 기회를 맞이했다.
이 대통령은 어린이 치료센터를 특화한 울산의료원 설립, 국가 고자기장연구소 설립을 통한 첨단 신소재 산업 육성, 반구대 암각화의 유네스코 등재 및 세계적 관광자원화, 울산항의 북극항로 대비 고부가가치 에너지 물류기지화, KTX-산천 노선 강화 및 태화강역 기능 확대, 주력 산업의 친환경 미래산업 전환, 태화강역 배후지에 세계적 문화·엔터테인먼트 파크 조성 등 7대 공약을 약속했다.
이들 공약은 울산의 첨단 신산업의 역량 강화와 균형 잡힌 지역 개발을 통해 미래형 산업도시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 대통령은 또한 부산·울산·경남의 광역 공약으로 ‘부울경 메가시티’를 구축해 ‘글로벌 해양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여기에도 울산을 자동차·조선·석유화학의 글로벌 산업 허브로 육성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의 울산 공약은 이제 막 출발선에 섰을 뿐이다. 선거 공약은 국정과제 반영과 사업 이행이 없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울산을 되살릴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려면, 정부와 울산시의 전략적 연대와 정치권의 끈질긴 집행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울산시는 앞서 12개 정책 과제와 35개 세부 사업 등 총 25조8000억원 규모의 대선 과제를 발굴해 민주당에 대선 공약 반영을 요청했다. 여기에는 ‘울산형 제조 AI(인공지능) 혁신 허브’ ‘양자 미래 기술 클러스터’ 등 울산의 산업지형을 바꿀 중대한 프로젝트가 포함돼 있지만, 아쉽게도 대선 공약에서 배제됐다.
쇠락해가는 전통 제조업 도시 울산이 직면한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되돌릴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지역 발전에 필수적인 현안 과제들을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최대한 반영하는 것이다. 이는 울산의 산업 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한 핵심 투자이자 지역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사안이다.
대선 공약은 실천될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증명된다. 이전 정부들처럼, 대선 공약이 갖가지 명분 아래 무산되는 일이 반복돼서는 절대 안 된다. 울산시와 정치권은 미래를 결정지을 골든타임을 허망하게 흘려보내선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