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칼럼]디지털 제품 여권: 지속 가능한 산업을 여는 열쇠
상태바
[목요칼럼]디지털 제품 여권: 지속 가능한 산업을 여는 열쇠
  • 경상일보
  • 승인 2025.06.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권상진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부교수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은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지속 가능한 제품 관리와 순환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개념이다. 이는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및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문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추적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전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의 핵심 요소는 데이터 표준화, 실시간 접근성, 그리고 신뢰성 있는 정보 공유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GS1 코드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GS1 코드는 글로벌 표준을 기반으로 한 제품 식별 체계로, 제품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전 세계적인 공급망에서 활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변조를 방지하고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해, 디지털 제품 여권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의 도입으로 기대되는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어, 제품의 재사용 및 재활용이 용이해진다. 이는 순환 경제를 촉진하고 자원 낭비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둘째, 소비자와 기업이 제품의 품질과 지속 가능성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이 가능해진다. 셋째, 정부 및 규제 기관이 제품의 환경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규제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디지털 제품 여권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제조 과정에서부터 사용 후 폐기에 이르기까지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많으며, 재사용 및 재활용을 통한 자원 회수가 중요한 산업이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전기차 배터리에 디지털 제품 여권을 적용할 것을 의무화하는 규정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과 표준화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 제도적 과제가 해결돼야 한다. 첫째, 제품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산업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을 고려했을 때, 각 국가 및 기업 간 데이터 형식과 관리 방식이 다를 수 있어 이를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디지털 제품 여권이 신뢰받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되고, 기업과 소비자 모두가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 셋째, 디지털 제품 여권의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 및 공공기관이 기업의 초기 도입 비용을 지원하거나 관련 규정을 명확히 정리하는 등의 조치가 요구된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을 위한 연구와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GS1 코드 기반의 제품 추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플랫폼 개발을 위해 GS1 코드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관련 정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디지털 제품 여권은 단순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넘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제품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 또한, 정부 및 규제 기관은 디지털 제품 여권을 활용해 환경 규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은 미래 산업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기업, 정부,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다.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혁신과 산업 간 협력, 정책적 지원이 조화를 이뤄야 하며, 국내 기업들도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권상진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부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추억 속 ‘여름날의 할머니집’으로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