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5년 동안(2025년 6월~2030년 6월)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제21대 이재명 대통령과 국가 경제중심부 산업수도 울산의 관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보는 이재명 정부와 울산의 주요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재명 정부와 산업수도 울산의 관계에 있어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단연, 이재명 정부에서 지역 출신 인사들의 장·차관 발탁 등 역할 여부다. 여기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주요 보직에서도 지역 출신 인사 발탁 여부 역시 새 정부의 관전 포인트다.
특히 성남시장에 이어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지역 균형발전과 함께 국가 경제를 매우 중시하고 있는 이재명 대통령이 울산 출신 인사들을 파격적으로 발탁, 국정운영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는 여론도 높다.
여기다 울산은 6·3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영남권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높은 42.54%라는 높은 득표율을 안겨주며 정권 교체에 한 몫 하기도 했다.
그동안 국가균형발전적 관점에서 역대 정부마다 울산을 홀대해 왔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울산이 국가경제 기여도(국세부담)는 매우 큰 반면, 정부로부터 수혜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지적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때문에 이재명 정부의 파격적인 인재발탁을 통해 그동안 소외돼 온 울산지역 현안해결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지역 여권의 한 인사는 “울산이 재정 등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매우 큰 반면에 그만큼의 혜택을 못 받고 있다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새 정부(이재명 정부) 국정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인재가 많았으면 한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이런 가운데 서울 용산 대통령실 등 여권 핵심부에 따르면, 울산 지역 출신 정치권 인사 중 김태선(울산 동구) 의원과 전은수(울산 남구갑 지역위원장) 전 최고의원 등 2~3명에 대해 집중 스크린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김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부터 대선후보까지 수행실장을 맡으며 ‘대통령이 가장 신뢰하는 최측근’ 인사로 통한다.
다만 현직 초선 의원이라는 점에서 국무위원(장관급) 후보는 아닐지라도 당과 대통령실의 핵심 가교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현직 변호사인 전 전 최고위원은 이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 직접 발탁한 인재로 상황에 따라 대통령실 비서관 기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밖에도 검증된 지역 인사 가운데 정무적 감각이 뛰어나고 청와대 근무경력이 있는 일부 인사에 대해서도 물밑 검증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역대 정권에서 국가경제와 지역안배 또는 정치적 관점에서 고 이후락 중앙정보부장(1970년 12월~1973년 12월)과 고 김태호 의원이 내무부장관(1989년~ 1990년), 최형우 내무부장관(1993년 12월~1994년 10월), 송철호 전 울산시장이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2005년 4월~ 2007년 11월), 이채필 전 경상일보 사장이 고용노동부장관(2011년 5월~2013년 3월) 등에 재임한 바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