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전 국민에게 15만~50만원 규모의 민생소비쿠폰 지급을 추진하면서 울산 유통업계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소비 심리 회복과 내수 진작의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와 달리 사용처 제한 여부에 따라 업종 간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25일 울산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민생소비쿠폰과 관련해 최종 설계안을 주시하며, 지역 소비 진작 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보다 폭넓은 사용처 지정이 이뤄지길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전반이 장기 내수 침체로 고전 중인 만큼 특정 업종 쏠림 없이 균형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정부 소비쿠폰은 현금이 아닌 지역 화폐·모바일 쿠폰 등의 형태로 지급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 재난지원금과 유사하게 전통시장, 소형 마트, 자영업 음식점 등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그때도 대형마트, 백화점, 이커머스,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사용처에서 제외됐다.
이 때문에 울산 지역 내 롯데마트, 이마트, 현대백화점, 홈플러스 등 주요 유통업체는 또다시 소비 진작의 중심에서 소외될지도 모른다고 입모은다. 실제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당시에도 사용처 제한으로 인해 대형 유통 채널은 매출 회복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반면 GS25, CU 등 가맹점 중심의 편의점과 정육점, 동네 마트 등은 매출이 급증하며 직접적인 수혜를 입어 소비쿠폰 발행을 기다리는 분위기다. 울산도 마찬가지였다. 코로나19 당시 지역 주요 상권에서는 자영업자 운영 소매점 매출이 눈에 띄게 늘었다.
체감 효과가 미미했던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와 달리 편의점 업계는 이번 소비쿠폰을 기회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1인 가구 증가와 근거리 소비 트렌드가 맞물리며, 도시락·간편식·축산 소포장 상품군의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특히 코로나19 당시 수입육과 한끼용 정육 제품이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축산 관련 품목에서 매출 반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형마트 업계의 불만도 거센 실정이다.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의무휴업, 심야배송 금지 등 각종 규제를 감수하면서도 정부 지원 정책에서는 제외되는 구조에 대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는 소비 진작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유통 채널별 제약을 두기보다는 매출 규모나 가맹 여부 등 실질적 기준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오프라인 유통점이 어려워지는 건 결국 소비자에게도 불리한 일”이라며 “특정 업태만 배려하는 방식보다 모든 유통 채널에 골고루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조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