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동서 지역을 연결하는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총사업비 급증으로 인해 내년 상반기 착공도 불투명해졌다. 애초 7240억원 규모로 추산됐던 총사업비가 실시설계 용역 과정에서 2000억원 이상 증가하면서, 기획재정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대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 정부와의 국가예산 협의가 필요해지면서 전체 공사 일정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올해 10월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공사를 발주해 내년 상반기 착공을 계획하고 있으나, 총사업비가 크게 증가해 기획재정부와의 사업비 조정 협의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 실시설계 재설계 용역 과정에서 물가 상승과 자재비 인상 등 외부 요인이 반영되면서 총사업비가 9122억원으로 증가했고,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대상에 다시 오르며 올해 발주가 이월됐다.
앞서 이 사업은 2020년 타당성 조사 통과 이후 설계 과정에서 교량·터널 계획 변경 등으로 총사업비가 증가하자, 지난해 기재부와 KDI의 재검토를 거쳐 4956억원에서 6309억원으로 증액된 바 있다. 그런데 이번 실시설계 용역에서 총사업비가 또다시 크게 뛰면서 기재부와의 사업비 조정 협의도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울주군 두서면 미호JCT에서 시작해 북구 가대동 가대IC까지를 잇는 총 연장 15.1㎞의 4차로 고속도로다. 2010년 국가 도로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된 후 2019년 1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확정되며 본격 추진됐다. 이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경부고속도로 언양에서 강동까지 이동 시간이 기존 1시간에서 22분으로 단축돼 도심 교통 분산은 물론 울산 지역 균형 발전과 물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사업의 성패는 기획재정부와의 총사업비 협상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문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재정 운용 기조가 급변하면서 울산에 불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악의 경우 사업이 정부의 예산 편성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사업에 차질이 생긴다면 도심과 외곽을 잇는 핵심 교통망을 기대해온 110만 울산 시민의 염원을 정면으로 저버리는 일이다. 벌써 수차례 착공이 늦춰진 상황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 울산시와 도로공사는 정부와의 협상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반드시 사업을 지켜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