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나 홀로’ 남겨진 어린이들이 화재 등으로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일 부산의 한 아파트에서는 부모가 야간 근무 중일 때 발생한 화재로 11세와 7세 자매가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그에 앞서 6월24일 부산의 또 다른 아파트에서는 7세와 10세 자매가 같은 이유로 목숨을 잃었다. 돌봄 시스템의 심각한 부재가 초래한 참담한 사회적 민낯을 드러낸 사건이다.
울산 지역 맞벌이 가구(11만8000가구) 중 배우자와 함께 사는 가구 비중은 40.3%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다. 그러나 울산의 맞벌이 가정 역시 경제적 이유로 일터로 나가는 상황에서 자녀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는 돌봄 시스템이 미비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울산시가 ‘울산형 책임돌봄’ 체계를 통해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더 강화한다는 소식이다. 시는 지난해 7월, 전국 광역시 최초로 울산시립아이돌봄센터를 설립해 24시간 365일 통합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5개 구·군별로 오후 10시까지 초등학생을 위한 틈새 야간 및 토요 돌봄을 확대 운영하고 있다. 울산형 초등돌봄 활성화 정책은 지난 5월 정부의 지자체 합동평가에서 우수 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시는 3세~12세 유아 및 초등학생을 돌보면 월 30만45만원까지 지원하는 ‘자조모임형 이웃애(愛) 돌봄’, 아파트 공동체 공간 등을 활용한 ‘시설파견형 늘곁애(愛) 돌봄’을 확대하고, 기존 초등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등 기존 시설과 대학생, 은퇴 어르신들의 재능기부를 활용한 ‘꿈곁애(愛)’ ‘품안애(愛)’ 사업도 추진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돌봄 및 육아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돌봄 공백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부산에서 발생한 사고처럼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자녀를 집에 홀로 남겨두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더 이상 부모만의 책임에 그쳐서는 안 되며,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공동의 문제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돌봄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시급하다. 기업은 부모들이 자녀를 돌볼 수 있도록 배려하고, 학교와 등 다양한 사회적 인프라를 활용해 아동 보호와 돌봄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울산형 책임돌봄’ 정책은 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더 많은 가정과 아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확대하고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