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대통령실과 민주당 등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등 야당이 두 장관 후보자를 겨냥해 ‘낙마 포화’를 퍼붓고 있는 있는 가운데, 민주당은 일단 대외적으로 두 후보자에 대한 엄호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친여 성향 단체에서 비토 의견이 공개적으로 나오자,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여권 내에서는 낙마가 현실화하면 정권 초반 국정운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팽배한 가운데 이 후보자의 16일 인사청문회까지 지켜본 뒤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이날 “인사 문제는 대통령실도 국민 눈높이에서 예의주시하고 있기에 청문회가 끝나면 종합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진실한 사과와 소명 등을 보고 국민께서 판단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당 원내 지도부 인사는 “두 후보자와 관련해 전체적인 국민 여론은 아직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청문회에서 후보자의 소명에 대한 여론 동향을 더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두 후보자 거취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도 당 일각에서 감지된다.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과 청문회 과정에서 위증 논란,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 유학 및 제자 논문 표절 의혹 등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측면이 있기에 국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정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부 진보 야당과 친여 성향 단체들이 공개적으로 두 후보자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힌 것도 고민을 키우는 지점이다.
진보당은 전날 서면 브리핑에서 “강 후보는 사실상 갑질 문제에 대해 인정했고 ‘거짓 해명’ 논란이 일며 국민 신뢰를 잃었다”며 강 후보자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사회민주당 청년위원회 역시 국민 신뢰를 회복할 새로운 적임자를 요청했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단체 역시 강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으로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과거 제자 논문을 표절해 연구 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자진 사퇴를 요구한 상태다.
국민 여론이 더 나빠지면 새 정부 국정 운영 동력 저하는 물론 자칫 야당에 정국 주도권을 넘겨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당 안팎의 우려도 적지 않다.
대통령실 역시 국민 여론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두 후보자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의혹이 낙마 사유라고 판단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통령실은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에서 달라진 부분은 없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